혼공JS 3장 - 2
03-2 switch 조건문과 짧은 조건문
<switch 조건문>
- 아래는 switch 조건문의 기본 형태이며, default 키워드는 생략할 수 있다.
switch (자료) {
case 조건A:
break
case 조건B:
break
default:
break
}
- break 키워드는 switch 조건문이나 반복문을 빠져나가기 위해 사용하는 키워드이다.
- switch 조건문의 괄호 안에는 비교할 값을 입력하고, 이때 입력한 값을 기준으로 특정 코드를 실행한다.
- 만약 입력한 표현식과 case 키워드 옆의 표현식이 같다면 case 키워드 바로 다음에 오는 문장을 실행한다. 중괄호는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.
switch 조건문을 if 조건문으로 변환하기
- 모든 switch 조건문은 if 조건문으로 바꿀 수 있다. 하지만 범위를 조건으로 가지는 if 조건문을 switch 조건문으로 대체하기는 어렵다. 하지만 전혀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.
<조건부 연산자>
- 자바스크립트에는 조건문과 비슷한 역할을 하는 연산자가 바로 조건부 연산자이고 기본 형태는 아래와 같다.
불 표현식 ? 참일 때의 결과 : 거짓일 때의 결과
- 자바스크립트에서 항을 3개 갖는 연산자는 조건부 연산자가 유일해서 삼항 연산자라고 부르기도 한다.
<짧은 조건문>
- 짧은 조건문은 논리 연산자의 특성을 조건문으로 사용하는 것이다.
논리합 연산자를 사용한 짧은 조건문
- 논리합 연산자를 사용한 표현식은 뒤에 어떠한 값이 들어가도 항상 참이다.
불 표현식 || 불 표현식이 거짓일 때 실행할 문장
논리곱 연산자를 사용한 짧은 조건문
- 논리곱 연산자는 양변이 모두 참일 때만 참이다.
결과가 거짓인 불 표현식 && 불 표현식이 참일 때 실행할 문장
- 저자 유튜브 강의 보기
- 17강 - 3.2절 나머지 조건문 :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K52sKtTlh4U
- 18강 - 3장 누적예제[이론과 실전] :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6vIvmiTJDZI
- 19강 - 3.2절 확인 문제 :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5k4OFfGSYmk
해당 글은 [혼자 공부하는 자바스크립트] 책을 토대로 공부한 내용을 기록하기 위하여 작성됨.
'IT Study. > 혼공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4장. 반복문 - 2 (0) | 2022.06.10 |
---|---|
4장. 반복문 - 1 (0) | 2022.06.09 |
3장. 조건문 - 1 (0) | 2022.06.07 |
2장. 자료와 변수 - 3 (0) | 2022.06.06 |
2장. 자료와 변수 - 2 (0) | 2022.06.05 |